![[Arduino] 아두이노 가변저항[Potentiometer] (볼륨 저항) 사용하기 (14)](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OhPCY%2FbtsIoxPyeVa%2FBaZuDV0SAuq7i31JOK1dk1%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트에서는 가변저항(볼륨저항)을 돌림에 따라 입력받는 크기를 읽어 들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것을 방식을 통해 외부에서 볼륨을 돌림으로써 다양한 제어가 가능한 장치들을 만들수 있습니다.가변 저항(Potentiometer)은 저항 값을 조정할 수 있는 전자 부품으로, 주로 전압 분배기, 조정 가능한 전위차, 센서 입력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가변 저항은 세 개의 핀을 가지고 있으며, 두 개의 고정된 저항과 한 개의 이동 가능한 저항을 포함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저항 값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1. 가변 저항 ▶1. 가변 저항의 구조와 작동 원리가변 저항은 내부에 저항체를 가지고 있으며, 저항체 위를 이동할 수 있는 접점(슬라이더)이 있습니다. 가변 저항에는 세..
![[Arduino] 아두이노 LCD 1602 - GPIO, I2C ( HC-SR04 ) 사용하기 (14)](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x4uV4%2FbtsIhdbVHec%2FJUK06uyGfIU3FBMlj1m6O0%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팅에서는 LCD DISPLAY를 사용해보겠습니다. LCD DISPLAY의 제어 방식은 Parallel(병렬) 방식의GPIO와 Serial(직렬) 방식의 I2C가 있습니다. 둘다 다뤄 볼겠습니다.!! LCD 1602는 16x2 캐릭터 LCD 모듈로, 한 줄에 16개의 문자, 총 2줄에 32개의 문자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듈은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널리 사용되며, 마이크로컨트롤러와 쉽게 통신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LCD 1602의 주요 특징, 핀 구성, 그리고 Arduino와의 연결 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 LCD는 BackLight는 디스플레이의 광원이고 자체 발광하는 OLED에 비해 LCD는 자페 발광을 하지 못해 BackLight는 필수입니다. ※1. 2가지 모듈LC..
![[Arduino] 아두이노 슬라이드 스위치로 LED제어 (10)](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3S2VA%2FbtsHnHKYgYW%2FtFRmGw2KH8Hql0XaGw56Ak%2Fimg.png)
안녕하세요.저번시간에 택트스위치에 대해서 다룬것에 이어서 슬라이드 스위치를 소개하겠습니다.슬라이드 스위치(Slide Switch)는 물리적으로 슬라이드 메커니즘을 통해 전기 회로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입니다. 주로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모드 전환, 전원 제어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슬라이드 스위치는 조작이 간편하고 직관적이어서 사용자가 쉽게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습니다.※1. 슬라이드 스위치의 구조 및 작동 원리 슬라이드 스위치의 구조 및 작동 원리구조슬라이더(Slider): 손가락으로 밀거나 당기는 부분으로,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전기적 연결을 변경합니다.터미널(Terminal): 슬라이드 스위치의 핀으로, 주로 3개의 핀이 있습니다.공통 핀(Common Pin): 보통 가운데 위치한 핀으로..
![[Arduino] 아두이노 8x8 Matrix Dot LED(1088BS)제어하기 (7)](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Aphci%2FbtsHB7cr8qw%2FKBArUGPqUQV1iSA2c1K3ek%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팅에서는 8개의 열과 8의 행으로 이루어져 총 64개의 LED로 구성된 가로8 세로8 배열의 LED에 대해 알아보고 아두이노를 통해 동작시켜 보겠습니다. 8x8 매트릭스 LED는 8개의 행과 8개의 열로 구성된 총 64개의 LED가 배열된 디스플레이 모듈입니다. 각 LED는 행과 열의 교차점에 위치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문자, 도형 및 애니메이션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 매트릭스 LED는 아두이노와 같은 마이크로컨트롤러와 쉽게 연동할 수 있습니다. ※1. 8X8 Dot Matrix LED 구조 및 제어[ 8x8 매트릭스 LED 구조] 행과 열:8x8 매트릭스 LED는 8개의 행(Row)과 8개의 열(Column)로 구성됩니다.각 행과 열은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Arduino] 아두이노 4Digit 7Segment(4자리 FND)제어하기 (6)](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mSh30%2FbtsHtoTvF4g%2FxqXkgQrIQ8ngkAP9aGkUyk%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팅에서는 4자리 7 Segment(FND)를 다루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두이노(Arduino)와 4자리 FND(Four-Digit Seven-Segment Display)를 함께 사용하면 숫자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간단한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4자리 FND는 보통 7개의 세그먼트와 1개의 소수점(Dot)으로 구성된 4개의 디지털 디스플레이가 하나로 결합된 형태입니다. 이를 통해 최대 4자리 숫자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제 4자리 FND의 작동 원리와 아두이노와의 연결 방법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4Digit 7 Segment 구조4자리 FND의 구조세그먼트: 각 자리에는 7개의 LED 세그먼트(A, B, C, D, E, F, G)와 소수점이 ..
![[Arduino] 아두이노 Common Cathode 7 Segment(FND) 제어하기 (4)](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kUVUY%2FbtsHlEWz5rG%2FzKeFtGuBlNlInKl18F2hC0%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팅에서 여러개의 Seven Segment를 Common Cathode Type를 동시에 제어하는 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7-Segment FND (Common Cathode Type)제어7-Segment FND (Field's Numeric Display)는 일종의 숫자 표시 장치로, 일반적으로 디지털 시계, 계산기, 디지털 계측기 등에서 사용됩니다. "FND"는 "Field's Numeric Display"의 약자이며, 7개의 LED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7개의 세그먼트는 각각 숫자를 표시하는 데 사용됩니다. Common Cathode (공통 음극) 타입의 7-Segment FND에서는 모든 LED 세그먼트의 음극이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는 모든..
![[Arduino] 아두이노 핀맵 & 아두이노 사양 모음](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Ax4fB%2FbtsHmwQ3UKA%2FmDbh7MioGyOLK9we5bllaK%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팅에서는 아두이노 사용시 필히 알아야하는 보드의 핀 넘버, 즉 핀맵을 한번에 모아두었습니다. 필요할 때 볼 수 있겠금 즐겨차기 해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1. 아두이노 우노 [ Arduino Uno ] ▶1. Pin Map [핀맵] ▶2. 스펙 [Spec] ※2. 아두이노 나노 [ Arduino Nano ] ▶1. Pin Map [핀맵] ▶2. 스펙 [Spec] ※3. 아두이노 마이크로 [Arduino Micro] ▶1. Pin Map [핀맵] ▶2. 스펙 [Spec] ※4. 아두이노 메가 ▶1. Pin Map [핀맵] ▶2. 스펙 [Spec] ※5. 아두이노 D1R2 (호환) ▶1. Pin Map [핀맵] ▶2. 스펙 [Spec] ※6. 아..
![[임베디드] 아두이노 VS 라즈베리파이](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i0SSU%2FbtsHl1c55t2%2FaCe3jy2t04CgvPltJizl9k%2Fimg.png)
안녕하세요.임베디드 개발 보드에는 마이크로비트, ESP, ARM 보드 등 다양하게 있고 아두이노와 라즈베리 파이 또한 이러한 개발 보드에 포함됩니다. 아두이노(Arduino)와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는 둘 다 임베디드 시스템 및 IoT 프로젝트에 널리 사용되는 인기 있는 플랫폼입니다. 그러나 이들은 목적과 기능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동일하게 어떤 제품이나 프로젝트에서 타겟을 개발하기 위한 초기 프로토타입 설계 하드웨어로써 사용되지만 용도에 따른 목적에 따라 이 둘을 구분할 필요가 있습니다. ※1. 아두이노 (Arduino) ▶1. 시리즈 Meaga, Uno, Nano, Micro, Leonardo, MKR, Pro, tiny 등. ▶2. 목적 아두이노는 주로 간단한..
![[MCP23017] 임베디드 디지털 입출력 확장](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lxkfO%2FbtsHnHRr64T%2F3aBp053pZHBhJv2gJOcwq1%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트에서는 아두이노나 라즈베리 등 다양한 개발 보드에서 입출력 핀이 부족할 때 보드를 더 사용할 수도 없고 당황할 때 해결 방법으로 좋은 IC Chip을 설명드립니다. 예시 코드도 제공해 드릴 것이지만 꼭 이해하고 사용해 보세요~ ※ 디지털 입출력 확장 : 충분하지 않은 핀의 개수를 하드웨어적으로 확장시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1. 키 매트릭스 : 예를 들어 2X2 크기의 LED 매트릭스의 경우 4개의 LED를 제어하기 위해 8개의 핀을 사 용하였다. LED 매트릭스의 경우 LED 들을 행과 열로 배열하고 행 또는 열 단위로 제어함으로써 필요한 핀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Col1에 HIGH가 가해 지고 Col2에는 LOW가 가해졌다고 가 정해 보자. 1열에 연결된..
![[Arduino] 아두이노 LED On/Off (2)](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J77zl%2FbtsHbhfQWVK%2FlvW9306NteO1IzaNdoVvW0%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팅에서는 간단하게 Arduino Board 에서 LED를 On / Off 하는 기능을 수행 해보겠습니다. ※1. LED 제어아두이노를 사용하여 LED를 제어하는 것은 비교적 간단합니다. LED는 Light Emitting Diode의 약자로, 전류가 흐르면서 빛을 내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아두이노를 사용하여 LED를 제어하는 것은 LED에 전류를 흐르게 하거나 그렇지 않게 함으로써 LED의 켜짐/꺼짐을 조절하는 것입니다.아두이노에서 LED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보통 디지털 핀을 사용합니다. 디지털 핀은 HIGH(전압이 가해진 상태) 또는 LOW(전압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 두 가지 상태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습니다. 이것을 이용하여 LED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2. Wirin..
![[Arduino] 아두이노 기본, 아두이노 시작_SW 설치 및 보드 연결(1)](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tXnId%2FbtsHbuFtzqw%2FZ5UG4ZzZYqfaGYWXkVd6L1%2Fimg.png)
안녕하세요.지금 포스팅부터 연속적으로 아두이노의 기본 모듈을 다뤄보겠습니다. 우선 기본적인 설치와 보드와 PC의 연결부터 진행해서 차츰 여러가지 모듈을 사용해 보는 방향으로 진행하겠습니다. ※1. Arduino IDE아두이노(Arduino)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는 아두이노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프로그래밍하고 관리하기 위한 통합 개발 환경입니다. 이 IDE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C와 C++을 사용하며, 아두이노 보드에 프로그램을 업로드하고 디버깅하는 데 사용됩니다.아두이노 IDE는 사용하기 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프로그래밍 경험이 적은 사람들도 쉽게 아두이노 프로젝트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라이브러리와 예제 코드를 포함하고 있어 다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