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emiconductor

(23)
[기본 전자 소자] 저항기: 전자 회로의 필수 아이템! (2) 안녕하세요.오늘은 전자 회로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부품 중 하나인 저항기(Resistor)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항기는 전류의 흐름을 제한하여 전자 회로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저항기가 무엇인지, 어떻게 동작하는지, 그리고 다양한 종류와 응용 분야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저항기란 무엇인가요?  저항기는 전류가 흐를 때 저항을 제공하여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전자 부품입니다. 전자 회로에서 저항기는 마치 수도꼭지처럼 전류의 흐름을 조절합니다. 수도꼭지를 조금 열면 물이 적게 나오고, 많이 열면 물이 많이 나오듯이 저항기의 저항 값에 따라 회로를 흐르는 전류의 양이 결정됩니다.  저항 값은 저항기의 가장 중요한 특성 중 하나로, 옴(Ω)이라는 단위로 측..
[기본 전자 소자] 수동 소자 ( Passive ) VS 능동 소자 ( Active ) (1) 안녕하세요.다음 포스팅 부터 한 카테고리로 진행할 기본적인 전자 소자에 대한 소개에 들어가기전에 이들을 구분하는 기준인 수동소자와 능동소자에 대해 알아 보게겠습니다.이글을 검색을 통해 들어오는 독자분들은 전자,전기 공학에 입문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일 것이므로 가능한 쉬운 표현으로 설명하겠습니다.  능동 소자와 수동 소자는 전자 회로 설계에서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하며, 각각의 소자는 특정한 기능과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능동 소자는 외부 전원 공급을 통해 작동하며 신호 증폭, 스위칭 등의 능동적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 수동 소자는 외부 전원 없이 신호를 필터링하거나 저장하는 등의 수동적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 두 종류의 소자는 전자 기기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서 필수적인 요소들로, 다양한 전자 회로에..
[디스플레이] Light Emitting Diode(LED; 발광 다이오드) 안녕하세요.디스플레이는 LED -> LCD -> OLED 순으로 계속 발전하고 있습니다.LED(발광 다이오드)는 전기가 흐를 때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이는 전통적인 백열 전구나 형광등과는 다르게 열을 방출하지 않고 빛을 방출하는데, 이로 인해 에너지를 덜 소모하고 수명이 길어집니다.   ※1. 배경 ▶1. (정류)다이오드  ᐧ 정의 : 한 방향으로만 전도하는 반도체 다이오드ᐧ 재료 : Si(실리콘), 게르마늄(Ge)ᐧ 용도 : 정류기, 전원공급기, 보호단자, 신호처리기 등- 다이오드는 양방향 전류를 허용하지 않고 단방향 전류만 통과시킬 수 있는 소자이다.- 다이오드는 PN 접합이라 불리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주로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며, 전기 회로에서 ..
[MOSFET] N Channel MOSFET VS P Channel MOSFET 차이(3) 안녕하세요.MOSFET은 바이어스 인가 이전 Channel층의 형성 유무에 따라 Depletion Mode (= Normally On) MOSFET과 Enhnaced Mode (= Normally Off) MOSFET으로 나뉩니다. 그리고 이렇게 나뉜 MOSFET은 또 N Channel MOSFET과 P Channel MOSFET으로 나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런 N Channel MOSFET과 P Channel MOSFET을 구분해 보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필요하다면 아래 내용들 참고해주세요.1. BJT VS FET 구분https://semicircuit.tistory.com/112. (A-1) BJT란? (이미터, 베이스 , 컬렉터)https://semicircuit.tistory.com/143..
[BJT] BJT 특성 곡선, 출력 곡선 (4) 안녕하세요.이번에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의 출력에 있어 어떻게 특성이 변화하는지 나타내는 Charateristic Curv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학교 전자관련 학부 단골 시험 문제죠... 시험 공부하다가 도움을 받기 위해 서칭 하시던 분들 많을 것이라 생각합니다.해당 포스팅에서는 BJT의 원리나 형태와 같은 원초적인 내용 보다는 트랜지스터에서 출력되어 나오는 신호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외에 내용은 아래 포스팅 참고 해주세요.1. BJT VS FET 구분https://semicircuit.tistory.com/112. (A-1) BJT란? (이미터, 베이스 , 컬렉터)https://semicircuit.tistory.com/143. (A-2) BJT 공정과..
[BJT] NPN BJT VS PNP BJT 차이(3) 안녕하세요.Transistor (트랜지스터)에는 크게 2개의 종류로 나뉩니다.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와 FET( Field Effect Transistor) 이중 BJT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는 접합 극성에 따라 NPN 트랜지스터와 PNP 트랜지스터로 구분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런 NPN와 PNP 트랜지스터에는 어떤 차이를 가지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필요하다면 아래 내용들 참고해주세요.1. BJT VS FET 구분https://semicircuit.tistory.com/112. (A-1) BJT란? (이미터, 베이스 , 컬렉터)https://semicircuit.tistory.com/143. (A-2) BJT 공정과정..
커패시터, 커패시턴스 읽는 법 안녕하세요.커패시턴스(capacitance)는 전기적 용량을 나타내는 물리량입니다. 커패시턴스는 전하를 저장하는 능력으로 정의되며, 두 전극 사이의 전압에 따른 전하의 변화량 비율로 정량화됩니다. 커패시터는 다른 Data Sheet의 단위와 달리 기본 단위를 기본 SI 단위가 아닌 pF을 사용하기에 많은 혼란을 불러옵니다. 아래는 저항 읽는 방법입니다. 필요하신 분들 참조해 주세요https://blog.naver.com/circuit_design/223429259094 저항 색 코드 (색띠) 읽는 방법#전자 공학 #저항 #색 코드 #저항 값 #레지스터 #레지스턴스 #Resistor #Resister #Resistance #색 띠 ...blog.naver.com   ※ 커패시터(콘덴서) 코드(용량) 읽기 ..
저항 색 코드 (색띠) 읽는 방법 안녕하세요.저항의 색 띠를 읽는 것은 전자 부품의 값이나 식별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보통 저항의 색 띠는 저항의 저항값을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아래는 저항의 색 띠를 읽는 방법에 대한 간단한 설명입니다.아래 링크는 커패시터 읽는 방법입니다. 필요하신 분들 참조해주세요.https://blog.naver.com/circuit_design/223429291347 커패시터, 커패시턴스 읽는 법#Capacitance #cap #Capacitor #커패시터 기본단위 #pF #Farad #마일러 콘덴서 #세라믹 콘덴서 #콘덴서...blog.naver.com   ※1. 저항 크기 읽는 순서 ▶1. 저항의 띠가 몇개인지 확인합니다.아래 사진은 5개 네요.  ▶2. 저항 띠의 방향을 찾습니다. (왼쪽 오른쪽 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