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전원 회로에서 커패시터는 중요한 부품 중 하나로, 회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용도로 사용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커패시터가 전원 회로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그 역할에 따라 적합한 용량을 어떻게 선택해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LM7809, LM7805와 같은 전원 레귤레이터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전자 부품입니다. 아래와 같이 전원에 해당하는 회로에는 일정 용량의 커패시터가 사용됩니다. 해당 커패시터의 목적과 적합한 용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원 회로에서 커패시터의 용량 크기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릅니다. 각 용도에 따른 커패시터 용량 선택 기준을 아래에 설명합니다.※1. 디커플링(Decoupling) => 바이패스(Bypass) 캐패시터▶1. 역할전원..

안녕하세요!오늘은 NVIDIA의 최신 GPU 아키텍처인 H100과 블랙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 두 기술은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 분야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비전공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드리겠습니다.※1. H100: NVIDIA의 최신 GPU▶1. H100이란? H100은 NVIDIA에서 개발한 최신 그래픽 카드(GPU)로, Hopper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GPU는 주로 AI와 머신러닝 작업에 사용되며, 복잡한 계산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2. 주요 기능과 기술 다중 정밀도 연산: H100은 FP8, FP16, TF32, INT8 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숫자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처리 방식은 AI 모델의..

안녕하세요.2022년도 부터 AI 시대가 급격하게 부흥하면서 이에 따라 다양한 반도체 산업군 또한 부흥 되고 있고 2024년 HBM 반도체 대한 관심도 또한 증가하고 있습니다. HBM의 고대역폭 초고속 메모리를 의미하는 약자입니다. 최근 모건스탠리의 'AI 거품론'으로 메모리 반도체의 시장 하락세와는 상반된 최근 미국의 반도체 생산업체 마이크론 높은 실적과 공급의 부족에 대한 기사가 쏟아지면서 더많은 관심과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HBM(High Bandwidth Memory)은 최신 반도체 기술로, 주로 고속 처리와 대량의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됩니다. HBM은 기존 DRAM보다 훨씬 높은 대역폭을 제공하며, GPU, AI, 데이터 센터 등에서 그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HB..

안녕하세요.최근 청라 아파트 주차장 화재, 테슬라 전기 트럭 화재 등 전기차 배터리 화재에 대한 이슈가 많이 발생하고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화재에 대해 이번 포스팅에서 다뤄보겠습니다.~ ※1. 전기차 배터리 화재 특징▶1. 전기차 화재의 특징 초기 발생의 조짐: 전기차 화재는 내연기관 차량 화재와 달리 초기 단계에서 즉각적인 화염이나 연기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배터리 내부에서 화학적 반응이 시작되면, 외부적으로 드러나기 전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운전자가 화재 발생을 미리 인지하지 못할 가능성이 큽니다.급격한 발화: 배터리 내부에서 열폭주가 시작되면 화재가 급격하게 발생하며, 불이 붙는 순간 화염이 매우 빠르게 확산됩니다. 이 과정에서 연기와 불꽃이 순..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팅에서는 인가 전압에 따른 PCB의 패턴 사이에 간격을 IPC-221B의 기준과 IPC-9592의 기준으로 계산하는 과정을 진행해 보겠습니다.패턴폭에 대한 포스팅은 아래 링크 참조해주세요.https://semicircuit.tistory.com/entry/PCB-%EB%8F%99%EB%B0%95-%EB%91%90%EA%BB%98-%EB%B0%8F-%EC%A0%84%EB%A5%98%EC%99%80%EC%9D%98-%EA%B4%80%EA%B3%84-IPC-2221-%EA%B3%B5%EC%8B%9D PCB 동박 두께 및 전류와의 관계 ( IPC-2221 공식 )안녕하세요.이번 시간에는 PCB 설계시 배선을 타고 지나가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어떻게 배선의 두께를 지정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 ..

안녕하세요.이번 시간에는 PCB 설계시 배선을 타고 지나가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어떻게 배선의 두께를 지정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패턴의 이격거리에 대한 계산은 아래 링크 참조해주세요.https://semicircuit.tistory.com/entry/PCB-%EB%B0%B0%EC%84%A0-%EC%9D%B4%EA%B2%A9-%EA%B1%B0%EB%A6%AC%ED%8C%A8%ED%84%B4pattern%EA%B0%84%EA%B2%A9-IPC-2221B-IPC-9592 PCB 배선 이격 거리(패턴(pattern)간격) : IPC-2221B / IPC-9592안녕하세요.이번 포스팅에서는 인가 전압에 따른 PCB의 패턴 사이에 간격을 IPC-221B의 기준과 IPC-9592의 기준으로 계산하는 과정..
![[ 광대역 PLL 설계 ] ADF4351 Based PLL Source 설계 (35MHz ~ 4400MHz) - 스펙 확인(1)](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dPJKY%2FbtsIJzdXrHm%2Fp3jp3JDrKykjzuNtQRk14K%2Fimg.jpg)
안녕하세요.하나의 프로젝트로 광대역의 PLL Source를 설계해보는 과정을 기술해보겠습니다. 회로설계부터 펌웨어 설계, 검증까지 모두 진행해 보겠습니다.대부분의 내용을 ADF4351 DataSheet를 기반으로 설명을 합니다. ADF4351 DataSheet를 함께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기술의 진보에 따라 PLL IC의 사양이 좋아짐에 따라 하나의 IC에서 광대역 주파수의 신호를 만들어 내는 제품이 많아 졌는데 이번 프로젝트에서 활용할 제품은 35MHz에서 4400MHz 신호를 만들어 낼수 있는 Analog Deviec의 "ADF4351" 제품입니다.※1. Specification (사양, 특징) 주요 스펙만 확인해 보겠습니다. (1) Power Supplires : 입력 전압(AVDD)이 3.0[V..
![[ RF Theorem ] NA Calibration Theory ( SOLT 이론 ) - Cal 목적, 수식](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X2fqW%2FbtsIGk3ExFm%2FvecnsE6kevlKaxAgtNjhz0%2Fimg.jpg)
안녕하세요.RF에서 많이 사용하는 측정 장비에는 NA [ Network Analyzer ] (네트워크 분석기)가 있습니다. NA장비는 본격적인 DUT( device under test)의 측정 이전에 Calibration이라는 보정 작업을 거치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Calibration의 목적과 수식적 이해를 해보겠습니다.NA장비에서 Calibration의 이론적인 정의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해드리고 수식적으로 자세하게 이해해 보는 과정으로 포스팅을 작성하겠습니다.※ Calibration 네트워크 분석기(NA, Network Analyzer)는 전자 부품, 회로, 시스템의 주파수 응답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중요한 장비입니다. 네트워크 분석기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캘리..
![위상배열[Phased Array Radar] 레이더란? AESA? PESA?](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bnudw%2FbtsIIIH4Lfe%2FaoliSqd5cTsEZ24j7J7Z31%2Fimg.png)
안녕하세요. 최근 몇 년 동안 기술의 진보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제품과 솔루션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위상배열 레이더(Phased Array Radar)는 항공우주, 방위산업, 기상 관측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위상배열 레이더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그 원리와 응용 분야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1. 위상배열 레이더란? 위상배열 레이더는 다수의 안테나 소자가 배열되어 있는 시스템으로, 각 소자의 위상을 독립적으로 조절하여 빔의 방향을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레이더입니다. 기존의 기계적으로 회전하는 레이더와 달리, 위상배열 레이더는 전자적으로 신속하게 빔을 조작할 수 있어 매우 빠른 탐지와 추적이 가능합니다.▶1. 위상 배열 레이더(Phased A..
![[ RF Theorem ] Vector Network Analyzer란? (네트워크 분석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SG3yk%2FbtsIHX6GA5y%2F2HPGoivGBJWlb5thB8dzIK%2Fimg.jpg)
안녕하세요.Network Analyzer는 전기적 네트워크의 성능을 정밀하게 측정하고 분석하는 중요한 장비입니다.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며, 정확한 측정을 위해 교정이 필수적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NA장비에 대해 알하보겠습니다.Network Analyzer는 전기적 네트워크의 성능을 분석하고 측정하는 데 필수적인 장비입니다. 특히, 고주파 및 마이크로파 주파수 대역에서 널리 사용되며, 주로 S-매개변수(S-parameters)를 분석하여 네트워크의 전송 및 반사 특성을 평가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Network Analyzer의 기본 구성, 교정 방법, 주요 응용 분야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우선적으로 NA의 구성에 대해 간단하게라도 읽어보고 자세한 내용 파악할 수 있도록 NA의 개념..

안녕하세요, 기술 애호가 여러분! 오늘은 RF (Radio Frequency) 기술의 중요한 부품 중 하나인 Directional Coupler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RF 시스템에서 신호를 측정하고 분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 부품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왜 중요한지 알아보겠습니다.본문에 들어가기에 앞써 Coupler와 Power Splitter, Power Divider의 구분에 대해 알고 넘어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아래 링크 참조해주세요. Coupler VS Power Splitter VS Power Divider 구분안녕하세요.RF에서 신호의 경로를 나누는 역할을 하는 Components에는 커플러, 스필릿터, 디바이더가 대표적으로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이..
![[ RF Theorem ] 전자 측정 장비: Oscilloscope, Spectrum Analyzer, TDR, Network Analyzer](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AzLwl%2FbtsIGcYNIGt%2F8Ef7AWIgwIkBjRx2FKW8K1%2Fimg.png)
안녕하세요.전자 공학이나 통신 분야에 종사하거나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전자 측정 장비의 중요성을 잘 알고 계실 겁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자 측정 장비 중에서도 특히 자주 사용되는 네 가지 장비인 Oscilloscope, Spectrum Analyzer, Time Domain Reflectometer (TDR), Network Analyzer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각 장비의 기능, 원리, 주요 응용 분야를 살펴보면서 왜 이 장비들이 필수적인지 알아보도록 하죠.Ocilloscope와 Time Domain Reflectometer는 Time Domain(시간 변화에 따른)에서 측정을 진행하고, Spectrum Analyzer와 Network Analyzer는 Frequency Domain(주파..
![[ RF Theorem ] RF의 Z 파라미터, Y 파라미터, S 파라미터, ABCD 파라미터 공식 유도부터 해석까지](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lr0hL%2FbtsIGxakALF%2Fp8KfdteqMcPeFaVhRpCh3K%2Fimg.png)
안녕하세요! 오늘은 RF 설계에서 중요한 네 가지 파라미터인 Z 파라미터, Y 파라미터, S 파라미터, 그리고 ABCD 파라미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파라미터들은 RF 네트워크의 성능을 분석하고 설계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들입니다.다양한 RF 설계 파라미터에 들어가기에 앞서 간단하게 포트에 대한 정의와 파라미터의 표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포트: 전류방향은 Port로 입사되는 방향으로 결정하고 포트의 개수에 따라 One port, Two port,....Multiport Net으로 불립니다.또한 같은 2-Port Net이라도 임피던스의 위치 구성에 따라 아래와 같이 나뉩니다. *파라미터 표면2포트 입력에 대한 1포트 출력 Z파라미터를 Z12 (2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포트에는 신호가 들어오지 않음),..
![[ RF Theorem ] RF, Microwave, MM-wave, 그리고 THz의 차이점과 응용](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lynhN%2FbtsICxVOEoP%2FLPphO4PizbsktrU4qDgyAk%2Fimg.png)
안녕하세요, 기술 애호가 여러분! 오늘은 전자기 스펙트럼에서 중요한 네 가지 주파수 대역인 RF(Radio Frequency), Microwave(마이크로파), MM-wave(밀리미터파), 그리고 THz(테라헤르츠)의 차이점과 각각의 응용 분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 네 가지 주파수 대역은 각각 고유한 특성과 용도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네 가지 주파수 대역은 각각 고유한 특성과 용도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RF는 보통 3 kHz에서 300 GHz 사이의 주파수 범위를 가지고 있고 나머지 3가지 주파수 대역중 마이크로파와 밀리미터파의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기에 RF 주파수대역의 하나의 용어도 사용되기도 하나 정의가 분명 존재하고 실..
![[ RF Theorem ] RF Intermodulation [ RF 혼변조 왜곡 ] (Harmonic, IM3)](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PEo9P%2FbtsIBjWeils%2FLQUcV5cF63BYM8uT7KKPWk%2Fimg.gif)
안녕하세요, 오늘은 RF 시스템에서 자주 언급되는 혼변조 왜곡(Intermodulation Distortion, IMD)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혼변조 왜곡은 여러 주파수 신호가 동시에 비선형 장치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원래 신호 주파수 외에 새로운 주파수 성분들이 생성되며, 이는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1. 혼변조 왜곡이란? 혼변조 왜곡은 RF 시스템에서 비선형 장치를 통과하는 여러 주파수 신호가 상호작용하여 새로운 주파수 성분을 생성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새로운 주파수 성분은 원래 신호 주파수의 합이나 차로 나타납니다.예를 들어, 두 개의 주파수 f1f_1f1과 f2f_2f2가 있을 때, 비선형 장치에서는 f1f_1f1과 f2f_..
![[ RF Theorem ] dB와 dBm ( 신호 크기 단위 )](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tp8nm%2FbtsIyHwQI8c%2F9xzQhUGK2diWTSc2iwvRM1%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팅에서는 RF신호의 크기를 다룰때 사용하는 dB단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dB(데시벨)와 dBm(데시벨 밀리와트)는 신호의 크기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며, 각각 특정한 이유로 사용됩니다. 이 단위들은 로그 스케일을 사용하여 신호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때문에 널리 사용됩니다. ※1. 목차1▶1. dB (데시벨) 상대적인 크기 표현: dB는 두 신호 간의 상대적인 크기 차이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증폭기에서 신호가 두 배로 증가하면 이는 +3 dB, 반으로 감소하면 -3 dB로 표현됩니다.로그 스케일: 로그 스케일을 사용하여 매우 큰 범위의 값을 간단히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신호 강도, 전력 손실, 이득 등을 표현하는 데 유리합니다.편리성: dB 단위는 여러 단계의 증..
![[ RF Theorem ] RF System Composition ( RF의 기본 요소 )](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Dm6DC%2FbtsIyE1oJQA%2FBZVX2zpXZCpsrNnwaN68a1%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팅에서는 RF의 기본 회로 구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F모듈의 구성은 RF시스템이 활용되는 목적이나 특성에 따라 다양하기에 절대적이지는 않습니다. 항상 부분적으로 달라질 수 있으며 용도에 맞게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여야 합니다.포스팅에서는 간단한 핸드폰의 RF시스템에 적합한 모델입니다.1.Duplexer Filter: 두 개의 신호(일반적으로 송,수신 신호)를 동시에 같은 경로로 이동시키게 하기 위한 필터 [종류]: TDD[Time Domain Duplexer], FDD[Frequency Domain Duplexer]2. LNA[Low Noise Amp]: 저 잡음 증폭기로 안테나가 잡은 미약한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적은 크기의 Noise가 목표)3.Band Pass Fi..
![[ RF Theorem ] RF Theorem ( RF 기초 이론 )](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d85DO%2FbtsIx8vaedc%2FqI0DCfvD6EKkkua6iCCdqk%2Fimg.jpg)
안녕하세요.RF의 기본적인 정의와 특징 및 몇가지 정보를 각 챕터를 나누어 최대한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RF의 정의와 범위 주파수 범위: RF는 보통 3 kHz에서 300 GHz 사이의 주파수 범위를 가리킵니다. 이 범위는 전자기 스펙트럼의 일부로, 주로 무선 통신에 사용됩니다.전자기파: RF는 전자기파의 한 형태로, 전기 및 자기장이 함께 진동하며 공간을 통해 에너지를 전달합니다. - RF 스펙트럼 : ~ 300 ㎒ (VLF ~ VHF) - 마이크로파 : 300 ㎒ ~ 30 ㎓ (UHF ~ SHF) - 밀리미터파 : 30 ~ 300 ㎓ (EHF) ※2. RF의 사용 통신: RF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본으로, 라디오, 텔레비전, 휴대전화, Wi-Fi, 위성 ..
![[ 아두이노 보드 만들기 ] 자작 아두이노 펌웨어 올리기 (브레드 보드) (3)](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tF0sQ%2FbtsIz5KeWF8%2F8dg2CDa5DrKzAOmkR3eiGK%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팅에서는 지금까지 직접 브레드보드에 만들고 부트로더도 올린 자작 아두이노 보드를 실제 활용해 보겠습니다.이글을 처음으로 보시는 분들은 이전 포스팅 참고해 주세요.이전 포스팅 꼭 참고해주세요 [ 아두이노 보드 만들기 ] 아두이노 보드 회로 구성 이해하기 (0)안녕하세요.이번 포스트부터 해서 아두이노 보드를 직접 만들어서 코드까지 업로드 해보는 과정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아두이노를 직접 만들어보면서 원리를 이해해보세요.아semicircuit.tistory.com [ 아두이노 보드 만들기 ] 자작 아두이노 만들기 (브레드 보드) (1)안녕하세요.지난 시간의 아두이노 우노 보드의 회로 설명에 이어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아두이노 보드를 빵판에 직접 구현해 보는DIY 아두이노 과정..
![[기본 전자 소자] OPAMP : 전자 회로 설계의 핵심! (9)](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OSdh4%2FbtsIgNEA6kL%2Fr7PKEZkEt8DofQT99eqs8k%2Fimg.png)
안녕하세요. 전자 회로 설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운영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 OPAMP)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OPAMP는 전압을 증폭하거나 조절하는 데 사용되며,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더욱 자세한 내용 아래 링크 참조 해보세요.https://semicircuit.tistory.com/entry/OP-AMP-Operating-Amplifier%EC%9D%98-%EC%9D%B4%ED%95%B41 [OP-AMP] Operating Amplifier의 이해(1)안녕하세요.OP-AMP를 "OP-AMP의 이해", "OP-AMP 회로", "OP-AMP회로 특성" 3가지 챕터 나누어 소개하겠습니다.이번 챕터는 "OP-AMP의 이해"에 대해 풀어보겠습니다. ..
![[기본 전자 소자] 집적 회로 (IC): 전자 기기의 뇌세포! (8)](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9Pw0A%2FbtsIirUkydK%2FJ3skbXC5CHLHCqh9sD0xik%2Fimg.jpg)
안녕하세요. 집적 회로는 여러 개의 전자 소자와 전기적 기능을 하나의 작고 효율적인 실리콘 칩 안에 집적하여 만든 부품으로, 우리 생활의 거의 모든 전자 기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1. 집적 회로란 무엇인가요? 집적 회로는 작고 복잡한 전자 회로를 실리콘 칩 한 조각에 집적하여 만든 반도체 소자입니다. 1958년 페어차일드 반도체의 장 브라틀리가 발명한 이래로, 집적 회로는 전자 공학의 발전을 이끌어왔습니다. 초기에는 몇 개의 소자가 집적된 마이크로모듈부터 시작하여, 오늘날에는 수백만 개의 소자가 하나의 칩 안에 집적되는 초고밀도 집적 회로가 널리 사용됩니다. ※2. 집적 회로의 종류집적 회로는 크게 아날로그 IC와 디지털 IC로 나뉩니다:아날로그 IC특징: 연속적인 신호를 처리하며, 온도 측..
![[기본 전자 소자] 다이오드: 전자의 일방통행 도로! (7)](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eafqga%2FbtsIix1euH0%2F6CRxOkmsoIdUy9lRKl7mMK%2Fimg.jpg)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자 회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이오드(Diode)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다이오드는 전류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전자 부품으로, 다양한 전자 기기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다이오드가 무엇인지, 어떻게 동작하는지, 그리고 다양한 종류와 응용 분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다이오드란 무엇인가요? 다이오드는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전자 부품입니다. 다이오드는 두 개의 단자, 즉 양극(Anode)과 음극(Cathode)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류는 양극에서 음극으로만 흐를 수 있으며, 반대 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게 합니다. 다이오드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 전기 회로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2. 다이오드의 동작 원리 다이오드의 동작 원리는 ..
![[기본 전자 소자] 트랜지스터: 전자 혁명의 핵심 부품! (6)](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rSFm5%2FbtsIhKNLQFo%2FO0EQXdQsZjeC1Ds64TfzT0%2Fimg.jpg)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자 회로의 심장이라 불리는 **트랜지스터(Transistor)**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트랜지스터는 현대 전자 기기의 핵심 부품으로, 컴퓨터, 스마트폰, 그리고 다양한 전자 장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트랜지스터가 무엇인지, 어떻게 동작하는지, 그리고 다양한 종류와 응용 분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트랜지스터란 무엇인가요? 트랜지스터는 전류나 전압을 증폭하거나 스위칭하는 전자 소자입니다. 1947년 벨 연구소의 존 바딘, 월터 브래튼, 윌리엄 쇼클리가 발명한 이래로, 트랜지스터는 전자 공학의 혁명을 이끌어왔습니다. 작은 크기와 낮은 전력 소모로 인해, 트랜지스터는 집적 회로(IC)의 핵심 구성 요소로 사용되며, 수십억 개의 트랜지스터가 하나의 칩에 집적..
![[기본 전자 소자] 트랜스포머: 전기 에너지의 마법 같은 변환기 (5)](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nY72a%2FbtsIg7iuTye%2FeWxEuvsqhpn6z3TAAYXyB1%2Fimg.jpg)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기 에너지의 세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트랜스포머는 전압을 변환하여 전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데 필수적인 장치입니다. 트랜스포머가 무엇인지, 어떻게 동작하는지, 그리고 다양한 종류와 응용 분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트랜스포머란 무엇인가요? 트랜스포머는 전압을 변환하는 장치로, 교류(AC) 전압을 높은 전압으로 올리거나 낮은 전압으로 내리는 역할을 합니다. 전력 회사에서 생성된 전기를 가정이나 산업 현장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트랜스포머가 사용됩니다. 트랜스포머는 두 개의 코일(1차 코일과 2차 코일)과 철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코일들은 서로 전기적으로는 연결되지 않지만, 자..
![[ 아두이노 보드 만들기 ] 자작 아두이노 부트로더 올리기 (2)](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Sfk3u%2FbtsIqPoWYBG%2FlFa4b7fPQKOWoffG2VaIsk%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시간에는 지난 시간에 브레드 보드에 제작한 자작 아두이노 보드에 부트로더를 올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MCU를 구입하게 되면 부트로더가 올라가져 있는 상태로 판매되는 경우도 있지만 아닌 경우가 훨씬 더 많습니다. 아래 과정을 따라와 보세요.전체 시리즈 포스팅입니다 순서대로 진행해 보세요. [ 아두이노 보드 만들기 ] 아두이노 보드 회로 구성 이해하기 (0)안녕하세요.이번 포스트부터 해서 아두이노 보드를 직접 만들어서 코드까지 업로드 해보는 과정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아두이노를 직접 만들어보면서 원리를 이해해보세요.아semicircuit.tistory.com [ 아두이노 보드 만들기 ] 자작 아두이노 만들기 (브레드 보드) (1)안녕하세요.지난 시간의 아..
![[ 아두이노 보드 만들기 ] 자작 아두이노 만들기 (브레드 보드) (1)](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d0fjY%2FbtsIrLMHFl2%2FX21v2xFNpPgYovIvxhEMtk%2Fimg.png)
안녕하세요.지난 시간의 아두이노 우노 보드의 회로 설명에 이어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아두이노 보드를 빵판에 직접 구현해 보는DIY 아두이노 과정을 진행해 보겠습니다.전체 시리즈 포스팅입니다 순서대로 진행해 보세요. [ 아두이노 보드 만들기 ] 아두이노 보드 회로 구성 이해하기 (0)안녕하세요.이번 포스트부터 해서 아두이노 보드를 직접 만들어서 코드까지 업로드 해보는 과정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아두이노를 직접 만들어보면서 원리를 이해해보세요.아semicircuit.tistory.com [ 아두이노 보드 만들기 ] 자작 아두이노 만들기 (브레드 보드) (1)안녕하세요.지난 시간의 아두이노 우노 보드의 회로 설명에 이어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아두이노 보드를 빵판에 직접 구현해 보는DIY 아두이노 ..
![[기본 전자 소자] 인덕터: 전자 회로의 숨은 영웅! (4)](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U4e73%2FbtsIhVasdwn%2FeNduZ4FzLJijShkBQsmif1%2Fimg.png)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자 회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부품 중 하나인 **인덕터(Inductor)**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인덕터는 전자 회로에서 전기를 저장하고 필터링하는 역할을 하며, 많은 전자 기기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인덕터가 무엇인지, 어떻게 동작하는지, 그리고 다양한 종류와 응용 분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인덕터란 무엇인가요? 인덕터는 전선이 코일 형태로 감겨진 구조로, 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을 생성하여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자 부품입니다. 인덕터는 전류의 변화에 저항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자 회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인덕턴스는 헨리(Henry, H)라는 단위로 측정됩니다. ※2. 인덕터의 동작 원리 인덕터의 동작..
![[ 아두이노 보드 만들기 ] 아두이노 보드 회로 구성 이해하기 (0)](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JiAxr%2FbtsIrcpYTtT%2FtigMlVZRlmini4g8jqfUuK%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트부터 해서 아두이노 보드를 직접 만들어서 코드까지 업로드 해보는 과정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아두이노를 직접 만들어보면서 원리를 이해해보세요. 전체 시리즈 포스팅입니다 순서대로 진행해 보세요. [ 아두이노 보드 만들기 ] 아두이노 보드 회로 구성 이해하기 (0)안녕하세요.이번 포스트부터 해서 아두이노 보드를 직접 만들어서 코드까지 업로드 해보는 과정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아두이노를 직접 만들어보면서 원리를 이해해보세요.아semicircuit.tistory.com [ 아두이노 보드 만들기 ] 자작 아두이노 만들기 (브레드 보드) (1)안녕하세요.지난 시간의 아두이노 우노 보드의 회로 설명에 이어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아두이노 보드를 빵판에 직접 구현해 보..
![[Arduino] 아두이노 가변저항[Potentiometer] (볼륨 저항) 사용하기 (14)](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OhPCY%2FbtsIoxPyeVa%2FBaZuDV0SAuq7i31JOK1dk1%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트에서는 가변저항(볼륨저항)을 돌림에 따라 입력받는 크기를 읽어 들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것을 방식을 통해 외부에서 볼륨을 돌림으로써 다양한 제어가 가능한 장치들을 만들수 있습니다.가변 저항(Potentiometer)은 저항 값을 조정할 수 있는 전자 부품으로, 주로 전압 분배기, 조정 가능한 전위차, 센서 입력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가변 저항은 세 개의 핀을 가지고 있으며, 두 개의 고정된 저항과 한 개의 이동 가능한 저항을 포함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저항 값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1. 가변 저항 ▶1. 가변 저항의 구조와 작동 원리가변 저항은 내부에 저항체를 가지고 있으며, 저항체 위를 이동할 수 있는 접점(슬라이더)이 있습니다. 가변 저항에는 세..
![[기본 전자 소자] 커패시터: 전기를 저장하는 작은 상자 (3)](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4dNlH%2FbtsIhz6CDdL%2FmI8YB6XZFsUwdhou1RYqwK%2Fimg.jpg)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자 회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부품인 커패시터(Capacitor)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커패시터는 전기를 저장하고 필요할 때 방출하는 역할을 하며, 다양한 전자 기기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제 커패시터가 무엇인지, 어떻게 동작하는지, 그리고 다양한 종류와 응용 분야에 대해 알아볼까요?※1. 커패시터란 무엇인가요? 커패시터는 두 개의 전도체(판) 사이에 절연체(디엘렉트릭)를 삽입한 구조로 이루어진 소자입니다. 전도체 판은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절연체는 전류가 직접적으로 흐르는 것을 막아줍니다. 쉽게 말해, 커패시터는 전기를 저장하는 작은 배터리와 같습니다. 그러나 배터리와 달리 커패시터는 빠르게 충전되고 방전될 수 있습니다. ※2. 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