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Doherty Power Amplifier (DPA)는 주로 고효율과 선형성을 동시에 요구하는 고주파(RF) 애플리케이션,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는 고출력 파워 앰프(Power Amplifier)입니다. 이 앰프는 Doherty 회로를 기반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주로 이동통신 기지국, TV 방송 송신기, 위성 통신 등에서 고출력 신호를 효율적으로 증폭하는 데 사용됩니다. Doherty 앰프의 핵심은 두 개의 증폭기 모듈을 동시에 활용하여 출력 신호의 효율성을 높이고, 비선형 왜곡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1. Doherty Power Amplifier의 작동 원리 Doherty Power Amplifier는 기본적으로 두 개의 증폭기 모듈을 사용하여 신호를 증폭하는 방식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사람들이 처음 들어봤을 수도 있는 TDC(Time-to-Digital Conversion)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비전공자도 이해하기 쉽게 풀어서 설명해드릴게요. TDC는 시간 간격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술입니다. 쉽게 말해, 아주 짧은 시간 간격을 측정하고 이를 숫자로 표현하는 과정이죠. 이런 기술이 어디에 쓰이는지 궁금하시죠? TDC는 레이더, LiDAR, TOF 센서 등 초정밀 시간을 측정해야 하는 다양한 기술에서 핵심 역할을 합니다. TDC를 스마트워치의 초고속 타이머라고 생각해보세요. 스마트워치는 초 단위의 시간을 측정하지만, TDC는 그보다 훨씬 짧은 나노초 또는 피코초 단위로 시간을 기록합니다. 이러한 정밀도 덕분에, 레이더가 자동차까지의 거리를 몇 센..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율주행차, 산업 로봇, 지도 제작 등 다양한 기술에 활용되고 있는 Radar(레이더)와 LiDAR(라이다)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둘 다 거리 측정과 물체 탐지를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사용하는 원리와 활용 방식, 그리고 각 기술의 장단점이 크게 다릅니다. Radar와 LiDAR의 특성을 비교하면서, 어떤 상황에서 어떤 기술이 더 적합한지 살펴보겠습니다. ※1. Radar(레이더)란?Radar는 "Radio Detection and Ranging"의 약자로, 전자기파인 무선 주파수(RF)를 사용해 물체와의 거리, 속도, 방향을 탐지하는 기술입니다. ▶1. 작동 원리송신기에서 고주파 신호를 발사합니다.신호가 목표물에 반사되어 수신기로 돌아옵니다.신호가 왕복하는 데 걸린..

안녕하세요.안녕하세요! 오늘은 최신 기술 트렌드와 다양한 산업에서 활약 중인 Time of Flight(TOF) 기술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우리가 스마트폰의 얼굴 인식을 사용할 때, 자율주행차가 장애물을 감지할 때, 또는 3D 스캐닝으로 정교한 모델을 제작할 때, 이 모든 과정에 숨어 있는 핵심 기술이 바로 TOF입니다.쉽게 말하면, TOF는 신호(빛, 음파 등)가 목표물에 닿았다가 다시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해 거리를 계산하는 기술입니다. 하지만 원리가 간단하다고 해서 이 기술이 단순한 것은 아닙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정밀한 데이터 처리와 결합해 우리의 삶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만들어 주는 TOF의 매력을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Time of Flight(TOF)는 물리학과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
![[OP-AMP] OPAMP의 다양한 활용과 주요 응용 회로(4)](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gRo9z%2FbtsKGGoM09N%2F8SF3KwXZ5f6M2TSx5FF0g0%2Fimg.png)
안녕하세요. OPAMP(Operational Amplifier, 연산 증폭기)는 아날로그 회로에서 매우 유용한 부품으로, 증폭에서부터 신호 처리 및 수학적 연산까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OPAMP는 높은 이득(gain), 높은 입력 저항, 낮은 출력 저항을 특징으로 하며, 피드백을 통해 원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전자 공학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OPAMP의 다양한 응용 회로와 각 회로의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전압 증폭기 (Voltage Amplifier)OPAMP의 가장 기본적인 응용 중 하나는 전압 증폭기입니다. 입력 신호를 크게 증폭해주는 이 회로는 고이득을 얻을 수 있으며, 주로 반전 증폭기(Inverting Amplifier)와 비반전 증폭기(Non-Invert..
![[OP-AMP] OPAMP의 출력 특성: 양전원, 단전원, Rail to Rail (3)](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OlMzo%2FbtsKGSWMqvc%2FKHH6wusjZsnEPFR9XOFqCK%2Fimg.png)
안녕하세요. OPAMP(Operational Amplifier, 연산 증폭기)의 출력 특성은 전원 구성 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대표적인 OPAMP의 전원 구성 방식으로는 양전원(dual supply), 단전원(single supply), 그리고 **레일투레일(Rail-to-Rail)**이 있습니다. 각 방식은 OPAMP의 동작 전압 범위와 출력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회로 설계 시 전원 구성의 선택은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OPAMP의 출력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전원 구성 방식의 차이와 각 방식의 장단점을 알아보겠습니다. ※1. 양전원 OPAMP (Dual-Supply OPAMP) 양전원 OPAMP는 +V와 -V로 나뉜 두 개의 전원을 사용하여, OPAMP의 입력과 출력을 0V를..

안녕하세요. PCB(Printed Circuit Board)는 전자 장치의 주요 구성 요소로, 전자 부품을 고정하고 연결하며 신호를 전달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여러 층으로 구성된 PCB는 각 층마다 고유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전체 회로 성능과 신뢰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다음은 PCB의 주요 층과 그 기능에 대한 내용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PCB Stack-Up의 기본 개념 PCB 스택업은 여러 층의 기판, 신호층, 전력층, 접지층을 조합한 구조입니다. 일반적으로 스택업은 단일층(single layer)부터 16층 이상의 다층(multi-layer) PCB까지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각 층의 순서와 배치는 신호 전달 효율과 EMI 차폐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칩니다.PCB..
현재 국내에서 논의되고 있는 반도체 특별법은 국내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마련된 법안으로, 주로 반도체 산업의 인프라 지원과 직접 보조금 도입을 주요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 일본 등 주요 반도체 강국들이 보조금 지원을 통해 자국 반도체 기업을 육성하는 추세에 발맞춘 것으로, 전력, 용수 등의 인프라 지원을 포함해 반도체 산업 전반에 필요한 기술개발 및 인력 양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또한, 대통령 직속의 반도체산업특별위원회와 같은 조직 신설을 통해 민관 협력을 강화하고, 기업이 과감한 투자를 할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 근거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 법안이 시행될 경우, 한국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1. 배경: 국..

안녕하세요. 레이더 기술에서 빔포밍(Beamforming)은 특정 방향으로 신호를 집중하여 에너지를 전송하거나, 특정 방향에서 수신 신호의 감도를 높이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레이더가 특정 위치에 있는 물체를 더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원치 않는 노이즈나 간섭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오늘은 레이더에서 빔포밍의 원리와 방법, 그리고 그 장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빔포밍(Beamforming)의 기본 개념 빔포밍은 마이크로파나 무선 신호가 전파되는 특정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신호의 전송 및 수신을 최적화하는 기술입니다. 단순히 안테나 하나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특정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배열 안테나 시스템에서는..
![[회로이론] 와이 델타(Y-Δ; Wye-Delta) 변환 (5)](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vAeDC%2FbtsKEbuLVsw%2FqMXfx5klXo4KvBxXkFHJK0%2Fimg.png)
안녕하세요. 회로이론을 배우다 보면 꼭 등장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Y-Δ 변환입니다. 이 변환은 서로 연결된 저항(또는 임피던스)들 사이에서의 상호 관계를 바꾸는 기법으로, 복잡한 회로를 더 간단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Y-Δ 변환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Y-Δ 변환이란?▶1. Y-Δ 변환이란?Y-Δ 변환은 전기 회로에서 Y(와이, 별형) 또는 Δ(델타, 삼각형) 구성의 저항 네트워크를 다른 형태로 변환하는 방법입니다.이 변환을 사용하면 복잡한 네트워크를 간단히 분석할 수 있게 되고, 특정 회로의 등가 저항을 구할 때 유용합니다.Y 회로는 중심점에서 각 노드로 저항이 연결된 형태를 의미합니다. 별 모양으로 생겼다고 해서..

안녕하세요. RF 및 마이크로파 설계에서 ADS와 HFSS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툴입니다. 이 글에서는 ADS와 HFSS의 주요 특징을 자세히 알아보고, 실제 예시를 통해 각 툴의 적용 사례와 한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RF 및 마이크로파 설계는 현대 전자기기와 통신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두 가지 주요 툴인 ADS (Advanced Design System)와 HFSS (High Frequency Structure Simulator)가 널리 사용됩니다. 이 두 툴은 각기 다른 용도와 특성을 가지고 있어, RF 회로 설계 및 3D 전자기 해석에 모두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ADS와 HFSS를 상세히 비교하고, 각 툴의 특징과 실제 사용 사례를 통해 선택..

안녕하세요. 푸리에 변환과 라플라스 변환은 신호나 시스템을 주파수 도메인에서 분석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로, 공학과 물리학의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두 변환은 모두 주파수 영역으로 신호를 변환해 다양한 분석을 가능하게 하지만, 그 특성과 용도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푸리에 변환과 라플라스 변환의 기본 개념과 차이점, 그리고 각 변환이 쓰이는 실제 응용 분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보겠습니다.아래 푸리에 변환과 라플라스 변환에 대한 자세한 내용 참조해보세요1. 푸리에 변환https://semicircuit.tistory.com/entry/%ED%91%B8%EB%A6%AC%EC%97%90-%EB%B3%80%ED%99%98-Fourier-Transform-%ED%91%B8%EB%A6%A..

안녕하세요. 라플라스 변환(Laplace Transform)은 푸리에 변환과 함께 공학, 물리학, 제어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는 변환 기법입니다. 복잡한 시간 도메인 신호를 복소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해 신호나 시스템의 동작을 쉽게 분석하고 설계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글에서는 라플라스 변환의 기본 개념부터 주요 성질, 실제 응용 사례까지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아래 푸리에 변환과 라플라스 변환에 대한 자세한 내용 참조해보세요1.푸리에 변환https://semicircuit.tistory.com/entry/%ED%91%B8%EB%A6%AC%EC%97%90-%EB%B3%80%ED%99%98-Fourier-Transform-%ED%91%B8%EB%A6%AC%EC%95%A0-%ED%8A%..

안녕하세요.푸리에 변환은 신호 처리, 물리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수학적 도구입니다. 이 변환은 복잡한 신호를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하여 우리가 그 신호를 더 잘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푸리에 변환의 개념, 적용 사례, 그리고 수학적 이론을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아래 푸리에 변환과 라플라스 변환에 대한 자세한 내용 참조해보세요1. 라플라스 변환https://semicircuit.tistory.com/entry/%EB%9D%BC%ED%94%8C%EB%9D%BC%EC%8A%A4-%EB%B3%80%ED%99%98-Laplace-Transform-%EB%B3%B5%EC%86%8C-%EC%A3%BC%ED%8C%8C%EC%88%98-%EB%B3%80 2.푸리에 변환과 라플라스..

안녕하세요. 요즘 많은 산업 분야에서 머신러닝(Machine Learning)과 딥러닝(Deep Learning)**이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두 개념은 모두 인공지능(AI)의 하위 영역에 속하지만, 각각의 정의와 원리, 그리고 활용하는 방식에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개념을 하나씩 풀어보고, 두 방법이 실제로 어떻게 다르게 적용되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요~ 인공지능은 가장 넓은 개념으로, 머신러닝은 그 안의 특정 기술이고, 딥러닝은 다시 머신러닝의 세부 기술로 볼 수 있습니다. 머신러닝은 기본 규칙을 사람이 주고, 컴퓨터가 이를 바탕으로 공부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농구 코치가 "이렇게 슛을 쏘면 점수를 많이 얻는다..

안녕하세요.안녕하세요! 오늘은 PN 접합 다이오드에서 발생하는 중요한 현상 중 하나인 Breakdown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다이오드는 전류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특정 조건에서는 이 기능이 무너질 수 있습니다. 바로 그때 Breakdown이 발생하게 됩니다. ※1. PN 접합 다이오드란?PN 접합 다이오드는 반도체 재료로 만들어진 두 가지 성질의 물질,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가 만나서 형성된 접합 구조입니다. 여기서 P형은 주로 양공(holes)이 다수 캐리어로 작용하고, N형은 전자(electrons)가 다수 캐리어로 작용합니다.이 둘이 만나면 자연스럽게 PN 접합이 형성되며, 이때 전기적 특성이 생기게 됩니다.. 이 접합부에서는 P형과 N형 사이에서 전자..

안녕하세요. 4족 원소 반도체는 주기율표에서 4족에 속하는 원소들로 이루어진 반도체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원소는 탄소(C), 규소(Si), 게르마늄(Ge), 주석(Sn) 등이 있으며, 이 중 규소(Si)와 게르마늄(Ge)이 반도체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원소들은 모두 4개의 원자가 전자를 가지고 있어서 다른 원자들과 공유 결합을 형성합니다. 이는 안정적인 결정 구조를 만들며, 반도체가 작동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럼 규소와 게르마늄 반도체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실리콘(Si ; 규소) 반도체 – 현대 반도체 산업의 주역 규소(Silicon)는 현재 반도체 산업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재료입니다. 스마트폰, 컴퓨터, 태양광 패널 등 수많은 전자 기..
![[회로이론] 키르히호프 법칙: 전자회로 분석의 필수 도구(4)](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1TICd%2FbtsJ90u6cWR%2F0drfsiZhfAnL42LQrtnvi0%2Fimg.jpg)
안녕하세요. 전자 회로를 분석할 때, 전압과 전류의 분포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핵심 도구 중 하나가 바로 **키르히호프 법칙(Kirchhoff's Laws)입니다. 키르히호프 법칙은 전기회로 내에서 전류와 전압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기본 법칙으로,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KCL)**과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KVL)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법칙들은 회로 분석의 기본 원리를 제공하며, 복잡한 회로에서도 전류와 전압을 계산할 수 있게 해줍니다. 구스타프 키르히호프(Gustav Kirchhoff, 1824-1887)는 독일의 물리학자이자 전기공학자로, 전기 회로 이론의 기초를 세운 인물 중 한 명입니다. 그의 연구는 전기 회로와 스펙트럼 분석 분야에 큰 기여를 했으며, 특히 ..
![[회로이론] 전자회로의 기본 구성 요소: 마디(Node), 가지(Branch), 경로(Path)(3)](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kNVkw%2FbtsKagRTGm7%2Fuw2NcQdrTOvykuZKxyIkMK%2Fimg.webp)
안녕하세요.전자회로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있어 중요한 개념이 마디(Node), 가지(Branch), 그리고 **결로(Path)**입니다. 이 세 가지 용어는 전자 회로의 구조를 설명하고, 회로의 전류와 전압을 분석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각 용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어떻게 회로의 동작과 연결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전자 회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인 마디(node), 가지(branch), 그리고 경로(path)는 회로 내에서 전류가 흐르고 전압이 분포되는 방식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아래 이미지를 통해 이 세 가지 요소를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1. 마디 (Node) 마디(Node)는 전자 회로 내에서 두 개 이상의 전기 소자가 연결되는 점을 말합니다. 즉, 여러 가지(..
![[회로이론] 전기 회로의 기본 개념: 전하, 전류, 전압, 전력(2)](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9Ia9y%2FbtsKaoh6R80%2FJqJHBF9FJdBiLtftidOwX0%2Fimg.png)
안녕하세요. 전기 회로와 관련된 중요한 개념 중에는 전하(charge), 전류(current), 전압(voltage), 전력(power)가 있습니다. 이 네 가지는 전기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각 개념이 무엇인지, 어떻게 서로 연관되어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1. 전하 (Charge)전하는 전기의 근본적인 성질로, 물질이 가지고 있는 전자의 양을 의미합니다. 전하는 원자 내의 전자나 양성자와 같은 입자가 가지고 있는 특성으로, 전자의 전하는 음(-)이고, 양성자의 전하는 양(+)입니다.전하의 단위는 쿨롱(Coulomb, C)으로, 1 쿨롱은 약 6.24 × 10¹⁸개의 전자에 해당합니다. 전하는 기본적으로 양전하(+)와 음전하(-)로 나뉘며, 반대 전하끼리는 ..
![[회로이론] 전기전자공학의 역사: 전기의 발견에서 현대 전자기술까지(1)](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dQ2Ur%2FbtsKbl5Nlha%2FaNsFSJQpcHAriJ5LW31kO0%2Fimg.jpg)
안녕하세요. 전기전자공학(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은 현대 과학과 기술 발전의 핵심 분야 중 하나입니다. 이 글에서는 전기의 발견에서부터 현재의 첨단 전자기술에 이르는 전기전자공학의 역사를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1. 전기의 발견과 초기 연구 (17세기 ~ 18세기) 전기 현상에 대한 관심은 고대 그리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하지만 본격적인 연구는 17세기와 18세기에 이루어졌습니다. 윌리엄 길버트(William Gilbert, 1544~1603)는 전자기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전기의 성질에 대해 처음으로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1752년 벤자민 프랭클린(Benjamin Franklin)은 유명한 연 실험을 통해 번개가 전기라는 것을 밝혀..

안녕하세요.반도체는 컴퓨터, 스마트폰, 자동차, 가전제품 등 다양한 전자 기기의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이런 반도체를 만드는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미세한 공정 하나하나가 반도체의 성능을 좌우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단계로 알려진 8대 공정은 각 공정마다 다양한 기술과 방법을 필요로 하며, 각각의 공정이 반도체의 미세한 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글에서는 반도체 8대 공정을 좀 더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아래는 다양한 다른 반도체 공정 과정과 장비를 설명 드리고 있습니다. 참고해보세요.1.웨이퍼 제조, 웨이퍼 제조 장비https://semicircuit.tistory.com/172. 박막 공정, 박막 공정 장비https://semicircuit.tistory.com/483. 패키징..

안녕하세요.메모리 반도체는 디지털 기기의 핵심 구성 요소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널리 사용되는 메모리는 S램(SRAM)과 D램(DRAM)입니다. 두 메모리의 차이점과 각각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S램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S램은 정적 램으로 불리며, 전원을 공급받는 동안 데이터가 유지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입니다. S램은 트랜지스터 6개로 이루어진 플립플롭(flip-flop) 회로를 사용해 각 비트를 저장합니다.▶1. 주요 특징 빠른 속도: S램은 데이터 읽기 및 쓰기 속도가 빠르며, 주로 캐시 메모리처럼 고속 처리에 필요한 곳에 사용됩니다.전력 소모가 낮음: S램은 데이터 갱신(refresh) 작업을 ..
![[Arduino] MCP4725 DAC 사용법: I2C 통신으로 아날로그 출력 제어하기(16)](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TwqxL%2FbtsJViO0CoB%2FLe0OMLIFFZKuCJoszdX0ck%2Fimg.jpg)
안녕하세요.MCP4725는 I2C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할 수 있는 12비트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입니다. 아두이노를 사용하여 이 칩을 제어하면 정밀한 아날로그 출력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MCP4725를 아두이노와 연결하고, I2C 통신을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MCP4725 제어MCP4725는 12비트 DAC로, 0~4095의 디지털 값을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I2C 통신을 사용하여 아두이노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최대 5V까지의 아날로그 출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 칩을 사용하면 오디오 신호 생성, 센서 보정, 파형 출력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Wiring (배선 연결)E..

안녕하세요.지난 포스팅에서 Coupler와 Splitter, Divider의 차이에 대하여 포스팅을 게시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plitter(Divider)의 설계 종류 즉, 만들 수 있는 설계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참고로 이전 포스트에서 Splitter와 Divider는 상황에 따라 구분하거나 아니면 동일하게 볼 필요도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번 게시글에서 구분하지 않고 동일하다 생각하고 Splitter로 칭하고 편하게 글을 작성하겠습니다.해당 내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참조해주세요.https://semicircuit.tistory.com/96 Coupler VS Power Splitter VS Power Divider 구분안녕하세요.RF에서 신호의 경로를 나누는 역할을 하는 ..

안녕하세요.고주 회로에서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하는 다양한 증폭기(Amplifier)는 각기 다른 목적과 성능을 갖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대표적인 증폭기 유형인 Power Amplifier(전력 증폭기), Low Noise Amplifier(저잡음 증폭기), Linear Power Amplifier(선형 전력 증폭기), High Power Amplifier(고출력 증폭기), Solid State Power Amplifier(반도체 전력 증폭기), Drive Amplifier(드라이브 증폭기), Buffer Amplifier(버퍼 증폭기)의 차이를 살펴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고주파 회로의 신호 AMP는 PA(Power AMP)와 LNA(Low Noise AMP), Buffer AMP 정도만으로 구분..

안녕하세요. 최근 중국 정부가 엔비디아의 고성능 GPU 제품 사용을 금지하면서, 이 문제는 글로벌 기술 산업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 금지 조치의 배경, 영향, 그리고 향후 전망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배경▶1. 국가 안보 중국 정부는 고성능 컴퓨팅 기술이 국가 안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이 군사 및 정보 보호와 같은 분야에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외국 기업의 제품 사용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2. 기술 자립 또한, 중국은 기술 자립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기술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자국의 기술 개발을 촉진하고 외국 기술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볼 수 있습..
![[Converter] DC to DC 컨버터: 리니어 레귤레이터와 스위칭 레귤레이터 (4)](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IUnkX%2FbtsJSmklc3a%2FPPDYKtnZTzqdCfvwrA6tZ0%2Fimg.jpg)
안녕하세요.DC to DC 컨버터는 한 종류의 직류 전압을 다른 전압으로 변환하는 장치로, 전자 기기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변환 과정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 주요 방식은 리니어 레귤레이터(Linear Regulator)와 스위칭 레귤레이터(Switching Regulator)입니다. 두 방식은 서로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적합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방식의 작동 원리와 장단점, 사용 사례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전원 컨버터의 종류를 참고 해보세요.- AC to DC 컨버터의 내용을 참고 해보세요.- DC to AC 컨버터의 내용을 참고 해보세요.※1. 리니어 레귤레이터 (Linear Regulator)리니어 레귤레이터는 간단한 DC to..
![[Converter] DC to AC 컨버터: 디코더 방식, 전압 분배 방식, 바이너리 방식, 온도계 코드 방식 (3)](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WJ7xA%2FbtsJRFkzkHL%2F3hND829X6ubP11Fqe8WB4K%2Fimg.jpg)
안녕하세요.DC(직류)를 AC(교류)로 변환하는 DC to AC 컨버터는 다양한 전기 기기와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컨버터의 성능과 설계는 다양한 인코딩 및 제어 방식을 통해 달성됩니다. 이 글에서는 DC to AC 컨버터에 사용될 수 있는 몇 가지 주요 제어 및 변환 방식인 디코더 방식, 전압 분배 방식, 바이너리 방식, 그리고 온도계 코드 방식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전원 컨버터의 종류를 참고 해보세요.- AC to DC 컨버터의 내용을 참고 해보세요.- DC to DC 컨버터의 내용을 참고 해보세요. ※1. 디코더 방식 (Decoder Method)디코더 방식은 DC to AC 컨버터에서 디지털 신호를 해독해 특정 출력을 결정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
![[Converter] AC to DC 컨버터: 트랜스 방식 vs 스위칭 방식 (2)](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fgSdr%2FbtsJShDrfy7%2FWvKXQEKkxfbqclvkwPLIPk%2Fimg.png)
안녕하세요.AC(교류)를 DC(직류)로 변환하는 컨버터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전자 기기의 대부분은 직류 전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AC to DC 컨버터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AC to DC 컨버터의 두 가지 주요 방식인 트랜스 방식과 스위칭 방식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전원 컨버터의 종류를 참고 해보세요.- DC to AC 컨버터의 내용을 참고 해보세요.- DC to DC 컨버터의 내용을 참고 해보세요. ※1. 트랜스 방식 (Transformer Method) 트랜스 방식의 AC to DC 컨버터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주로 리니어 방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방식은 변압기와 정류기를 사용하여 AC 전원을 DC로 변환합니다. 그 과정을 자세히 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