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duino] 아두이노 LCD 1602 - GPIO, I2C ( HC-SR04 ) 사용하기 (14)](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x4uV4%2FbtsIhdbVHec%2FJUK06uyGfIU3FBMlj1m6O0%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팅에서는 LCD DISPLAY를 사용해보겠습니다. LCD DISPLAY의 제어 방식은 Parallel(병렬) 방식의GPIO와 Serial(직렬) 방식의 I2C가 있습니다. 둘다 다뤄 볼겠습니다.!! LCD 1602는 16x2 캐릭터 LCD 모듈로, 한 줄에 16개의 문자, 총 2줄에 32개의 문자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듈은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널리 사용되며, 마이크로컨트롤러와 쉽게 통신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LCD 1602의 주요 특징, 핀 구성, 그리고 Arduino와의 연결 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 LCD는 BackLight는 디스플레이의 광원이고 자체 발광하는 OLED에 비해 LCD는 자페 발광을 하지 못해 BackLight는 필수입니다. ※1. 2가지 모듈LC..

안녕하세요.정전기 대책에 있어서 EMC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S (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는 헷갈릴 수 있는 요소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것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EMC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란 무엇인가? EMC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는 전기 및 전자 장비가 전자기 환경에서 다른 장치에 간섭하지 않도록 하고, 다른 장치의 전자기 방해를 받아서도 안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전자기적 방해(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와 전자기적 내성(EMS, Ele..
![[기본 전자 소자] 저항기: 전자 회로의 필수 아이템! (2)](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TgJpz%2FbtsIaGZcyvq%2FysOCtErwa2yom0bisojkj1%2Fimg.jpg)
안녕하세요.오늘은 전자 회로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부품 중 하나인 저항기(Resistor)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항기는 전류의 흐름을 제한하여 전자 회로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저항기가 무엇인지, 어떻게 동작하는지, 그리고 다양한 종류와 응용 분야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저항기란 무엇인가요? 저항기는 전류가 흐를 때 저항을 제공하여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전자 부품입니다. 전자 회로에서 저항기는 마치 수도꼭지처럼 전류의 흐름을 조절합니다. 수도꼭지를 조금 열면 물이 적게 나오고, 많이 열면 물이 많이 나오듯이 저항기의 저항 값에 따라 회로를 흐르는 전류의 양이 결정됩니다. 저항 값은 저항기의 가장 중요한 특성 중 하나로, 옴(Ω)이라는 단위로 측..
![[기본 전자 소자] 수동 소자 ( Passive ) VS 능동 소자 ( Active ) (1)](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JyLcS%2FbtsH92uCHcW%2FnHQknjotpTpSGxrqH0NnF1%2Fimg.png)
안녕하세요.다음 포스팅 부터 한 카테고리로 진행할 기본적인 전자 소자에 대한 소개에 들어가기전에 이들을 구분하는 기준인 수동소자와 능동소자에 대해 알아 보게겠습니다.이글을 검색을 통해 들어오는 독자분들은 전자,전기 공학에 입문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일 것이므로 가능한 쉬운 표현으로 설명하겠습니다. 능동 소자와 수동 소자는 전자 회로 설계에서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하며, 각각의 소자는 특정한 기능과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능동 소자는 외부 전원 공급을 통해 작동하며 신호 증폭, 스위칭 등의 능동적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 수동 소자는 외부 전원 없이 신호를 필터링하거나 저장하는 등의 수동적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 두 종류의 소자는 전자 기기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서 필수적인 요소들로, 다양한 전자 회로에..
![[Audio AMP] 진공관 앰프 vs 트랜지스터 앰프 vs 하이브리드 앰프 (2)](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74gSo%2FbtsH4WaQ306%2FMgXWJrKmp5vTGkT5KoFAoK%2Fimg.jpg)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목적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에서의 앰프 구분(Pre-Amp, Power-Amp, Integrated-Amp)에 이어 사용하는 소자에 따른 구분으로 진공관 앰프, 트랜지스터 앰프, 하이브리드 앰프를 구분해 보겠습니다. 하이브리드 앰프는 진공관과 트랜지스터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앰프로, 각각의 기술적 특성을 조합하여 특정 음향적 특징을 제공합니다. 진공관의 따뜻하고 부드러운 음색과 트랜지스터의 정밀하고 강력한 증폭 능력을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균형 잡힌 소리를 만들어냅니다. 아래에 하이브리드 엠프를 포함하여 진공관 앰프와 트랜지스터 앰프의 주요 특성을 다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진공관 앰프 (Tube Amp)▶1. 기술: 진공관을 사용하여 신호를 증폭합니다.열전자 방출과 전기장에 ..
![[Audio AMP] Pre Amp vs Power Amp vs Intergrated Amp (1)](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eaV0Le%2FbtsH5XM3Cle%2FWin7TefZBqXtcTnB8eSsK1%2Fimg.png)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디오 시스템에서 다뤄지는 주요 앰프 중사용 목적에 따라 나뉘는 프리 앰프, 파워 앰프, 인티 앰프로 나누어 차이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Pre Amp는 마이크와 같은 입력장치에서 전달 받은 아주 약한 신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즉, 신호처리 이전에 신호처리가 가능한 정도의 크기까지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입력 담당)이후 Power Amp에서 이 신호 혹은 해당 신호에 튜닝을 거친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기 위해 큰 에너지의 신호로 증폭시킨다. (출력 담당)Intergrated Amp는 Pre Amp와 Power Amp를 하나로 만들어둔 Amp이다. Intergrated Amp를 장착하고 Power Amp 혹은 Pre Amp 중 하나의 기능만을 사용 할 수 있기에 ..

안녕하세요.RF에서 신호의 경로를 나누는 역할을 하는 Components에는 커플러, 스필릿터, 디바이더가 대표적으로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이것들의 차이를 구분 해보겠습니다.사전에 미리 당부하고 가는 내용으로 Coupler와 나머지 Splitter, Divider는 분명하게 구분이 가능하고 공식,비공식적으로 모두 구분하는게 맞습니다. 다만 Splitter와 Divider의 경우 실질적으로 구분을 하지 않는 경우가 더 많이 존재하고 RF엔지니어 사이에서 대부분 혼용하여 이야기를 합니다. 다만 Keysight와 계열사인 Agilent은 분명 구분하고 있기에 필요에 따라 구분 혹은 혼용해서 사용해야 합니다.(Coupler를 큰 범위의 용어로 두고 Directional Coupelr, SPlitter, D..
![[ Filter Solution ] ANSYS Nuhertz Filter Solution 보유하고 있는 Lumped Component로 필터 설계하기 (2)](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Rm79U%2FbtsHYdi0x80%2FoEi1PbDAIslm2MPrPBcEI0%2Fimg.png)
안녕하세요.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ANSYS사의 Nuhertz Filter Solution을 통해 필터를 설계하는 방법을 게시하겠습니다.이번에는 좀더 구체적으로 실제 필터설계를 하는 과정에 더 적합하게 보유하고 있는 크기의 커패시터와 인덕터를 가지고 만들수 있는 회로를 디자인해 보겠습니다.Nuhertz Filter Solution을 통해 필터를 디자인하게 되면아래오 같이 다양한 크기의 커패시터와 인더터로 회로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소수점이하까지 크기의 모든 커패시터와 인덕터를 가지고 있지도, 구하기로 힘들것 입니다. 이때 내가 가지고 있는 크기의 커패시터와 인덕터 만으로 회로를 디자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저는 아래와 같은 Sample Kit를 기준으로 커패시터와 인덕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 Filter Solution ] ANSYS Nuhertz Filter Solution S/W로 필터 디자인 (1)](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Tm6cv%2FbtsHZaSUiWq%2FpXpVj95ATGCl4LpGs5pOB0%2Fimg.png)
안녕하세요.RF회로를 디자인 할때 필터를 설계해야하는 일이 많고 직접 계산을 통해 커패시터와 인덕터를 선정하기엔 힘들고 실수로 인한 설계 미스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대신하여 만들고자하는 필터의 구조와 수동소자(커패시턴스, 인덕턴스)의 값을 계산해주는 Tool인 Ansys사의Nuhertz Filter Solution을 통해 간단한 필터 설계를 진행하여 보겠습니다. 요즘에는 소프웨어를 설치하지 않고도 웹사이트 상에서도 필터를 디자인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RFDH에서도 해당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http://www.rfdh.com/ RFDH - 대한민국을 RF강국으로! www.rfdh.com다만 이러한 웹사이트에서는 시뮬레이션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도 많고 옵션에 제약이 많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

안녕하세요.전자 소자가 생산된 후 운반 및 사용을 위해 다양한 포장 방식으로 제공됩니다. 이러한 포장 방식은 전자 소자의 형태, 크기,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주요 포장 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전자 소자가 생산된 후 운반 및 사용을 위해 다양한 포장 방식으로 제공됩니다. 이러한 포장 방식은 전자 소자의 형태, 크기,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요 포장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각 포장 방식은 특정한 용도와 필요에 따라 선택되며, 소자의 안전한 운송과 효율적인 조립을 보장하는 역할을 합니다.※1. 릴(Reel) - 테이프 앤 릴(Tape and Reel)▶1. 형태소형 표면 실장 부품(SMD)을 대량으로 자동 조립하는데 사용됩니다. 부품들이 일정 간격으로 테이프에 부착..
![[PADS] PADS 단축키](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oUC6v%2FbtsHQneuRGy%2F56od0ZhdPSvpBcvEkBiGmK%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트에서는 PADS에서 작업을 할때 작업을 편리하게 해주고 효율성을 높혀 줄 수 있는 단축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ADS (Printed Circuit Board (PCB) 디자인 소프트웨어)에는 다양한 단축키가 있어서 설계 작업을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여기 몇 가지 유용한 PADS 단축키를 소개합니다. ※0. Basic Key ※1. Control Key 1. Ctrl + A : 설계 화면의 모든 객체 선택 2. Ctrl + B : Board outline 전체를 회면에 표시 3. Ctrl + C : 현재 선택한 객체를 복사 4. Ctrl + D : Redraw를 실행 5. Ctrl + E : 선택된 객체의 이동 6. Ctrl + F : 부품 배치면의 변경 7. Ct..
![[Arduino] 아두이노 초음파 거리센서 ( HC-SR04 ) 사용하기 (13)](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cIUei%2FbtsHtKhHFmu%2FRV0rfZ1HPHKSdK8bvdex50%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트에서는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중 초음파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거리센서 HC-SR04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센서는 크게 초음파센서와 레이더 센서로 나뉘어집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초음파거리센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초음파 거리 센서는 초음파를 사용하여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입니다. 초음파 거리 센서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며, 특히 로봇 공학, 자동화 시스템, 거리 측정 등에 널리 활용됩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초음파 거리 센서 중 하나는 HC-SR04입니다.※1. 초음파 거리센서의 원리과 특징초음파 거리 센서는 초음파 펄스를 방출하고, 이 펄스가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합니다. 소리가 공기 중을 이동하는 속도(약..
![[Arduino] 아두이노 온도센서 ( LM35, DS18B20 ) 사용하기 (12)](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likyT%2FbtsHnJ38R7T%2FpSA5OV4RdoDV0LwoSoxiOK%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트에서는 외부 온도를 받아들이는 온도센서(LM35, DS18B20)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LM35와 DS18B20은 교육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온도센서입니다. LM35는 섭씨 온도(Celsius)를 측정하는 정밀 온도 센서로, 다양한 전자 프로젝트와 산업 응용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이 센서는 온도에 비례하는 아날로그 전압 출력을 제공하여 쉽게 온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LM35는 다른 온도 센서와 비교하여 높은 정확도와 선형 출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생긴것(Package Type)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트랜지스터의 형태와 동일합니다.※1. 온도센서 ( LM35, DS18B20 ) 제어1. LM35의 원리LM35는 아날로그 온도 센서로, 온도 변화에 따라 전압 출력을 ..
![[Arduino] 아두이노 포토레지스터 ( CDS ) 사용하기 (11)](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t7SOy%2FbtsHpK8j3s6%2FkokohpRQgThhLdF0xowKP0%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트에서는 아두이노에서 밝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아 밝기를 조건으로 LED를 켜보는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포토레지스터(Photoresistor)는 빛의 강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빛 감지 센서입니다. 주로 조도(밝기)를 측정하거나 빛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포토레지스터는 저항값이 빛의 강도에 반비례하여 작동합니다. 즉, 빛이 강해지면 저항값이 낮아지고, 빛이 약해지면 저항값이 높아집니다.※1. 포토레지스터의 기본 원리 포토레지스터는 빛을 감지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재료는 일반적으로 **황화카드뮴(CdS)**을 사용합니다. CdS는 반도체 특성을 가지며, 빛을 받으면 전도도가 증가합니다. 이로 인해 저항값이 낮아집니다.주요 특성감도: 포토레지스터의 저..
![[Arduino] 아두이노 슬라이드 스위치로 LED제어 (10)](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3S2VA%2FbtsHnHKYgYW%2FtFRmGw2KH8Hql0XaGw56Ak%2Fimg.png)
안녕하세요.저번시간에 택트스위치에 대해서 다룬것에 이어서 슬라이드 스위치를 소개하겠습니다.슬라이드 스위치(Slide Switch)는 물리적으로 슬라이드 메커니즘을 통해 전기 회로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입니다. 주로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모드 전환, 전원 제어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슬라이드 스위치는 조작이 간편하고 직관적이어서 사용자가 쉽게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습니다.※1. 슬라이드 스위치의 구조 및 작동 원리 슬라이드 스위치의 구조 및 작동 원리구조슬라이더(Slider): 손가락으로 밀거나 당기는 부분으로,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전기적 연결을 변경합니다.터미널(Terminal): 슬라이드 스위치의 핀으로, 주로 3개의 핀이 있습니다.공통 핀(Common Pin): 보통 가운데 위치한 핀으로..
![[Arduino] 아두이노 택트 스위치로 LED제어 (9)](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pxzQM%2FbtsHlECipWy%2FAlIFJ7SPOxMITwQ1p5mQZ0%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팅에서는 택트 스위치에 대해 알아보고 택트 스위치를 통해 스위치를 켜도 끄는 방식을 알아보겠습니다.개요~택트 스위치(Tactile switch)는 일반적으로 전자 프로젝트에서 많이 사용되는 소형의 푸시 버튼 스위치입니다. 주로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르면 회로가 연결되고, 손을 떼면 회로가 끊어지는 형태로 작동합니다. 아두이노 프로젝트에서 LED를 켜고 끄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택트 스위치의 구조와 동작 원리, 그리고 아두이노와의 연결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택트 스위치의 구조와 동작 원리 구조:핀: 택트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4개의 핀이 있습니다. 이 중 두 핀은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두 핀도 마찬가지로 연결되어 있습니다.내부 메커니즘: 스위치를 누..
![[Arduino] 아두이노 3색 LED 제어하기(빨 초 파 흰)_Common Cathode (8)](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VAucB%2FbtsHmXnjEl9%2F8fcmEYDfzYKp8rPTwS9itK%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트에서는 하나의 LED에서 3가지 RGB 색을 나타낼 수 있어 이들을 조합으로 모든 색을 출력할 수 있는 3색 LED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3색 LED는 일반적으로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의 세 가지 색을 낼 수 있는 LED를 말합니다. 이 LED는 하나의 패키지 안에 RGB(빨강, 초록, 파랑) 세 가지 색상의 LED 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LED는 다양한 색상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며, 세 가지 기본 색상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색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1. 3색 LED 제어 구성 및 동작 원리RGB LED: 3색 LED는 RGB LED라고도 불리며, 각각의 LED 칩은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색을 조합할 수 있습니다.빨간색 LED (Red)초..
![[PADS] Licensing Note 에러 해결 방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vjqop%2FbtsHEP4ioKZ%2FBDaSKnGK5jEvQ2ZjjC7bWk%2Fimg.png)
PADS를 킬때 다음 에러 문구가 뜨면서 실행이 안되는 경우 아래 2과정을 진행해보세요.1. 로컬 디스크(C) -> PADS 9.3.1 -> pad 9.3.1 -> EFA -> Float 실행(자동으로 닫힘)2. MentorKG 실행(메모장 켜질때 까지 대기, 약 2~3분) -> 메모장 켜지면 닫기

이번 포스트에서는 디지털의 High 신호와 Low 신호를 구분하는 TTL 논리와 CMOS 논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TL (Transistor-Transistor Logic)과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는 두 가지 주요 디지털 회로 기술입니다. 이들은 모두 디지털 회로의 구성 요소로 사용되며, 서로 다른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디지털 세계는 1(High)와 0(Low)로 모든 것이 이뤄져있고 설명됩니다. 이때 어떤 신호를 1(High), 또 어떤 신호를 0(Low)로할지 구분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때 우리는 1과 0을 나누는 기준 파라미터로 전압을 사용합니다. 그럼 어느 전압레벨의 신호를 0, 1이라고 할지 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하나의 프..
![풀 업 / 풀 다운 [Pull Up / Pull Down ] 저항 ( 플로팅 원리, 회로 구성 )](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BGtAD%2FbtsHKE9rBfA%2FcVbnHhrXABPkM47Ui3kVkk%2Fimg.png)
안녕하세요.풀업 저항(pull-up resistor)과 풀다운 저항(pull-down resistor)은 디지털 회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입니다. 이 저항들은 입력 핀이 안정적인 전압 상태를 유지하게 도와줍니다. 각 저항의 동작 원리와 용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풀업 저항과 풀 다운 저항을 적용한 예시는 다음 포스트를 참고해주세요.https://semicircuit.tistory.com/manage/posts/ Tistory좀 아는 블로거들의 유용한 이야기www.tistory.com ※1. 풀업 저항 / 풀다운 저항 (Pull-up / Pull-Down Resistor) 풀업 / 풀다운 저항의 필요성과 원리 및 회로 구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Voltage Level과..
![[Arduino] 아두이노 8x8 Matrix Dot LED(1088BS)제어하기 (7)](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Aphci%2FbtsHB7cr8qw%2FKBArUGPqUQV1iSA2c1K3ek%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팅에서는 8개의 열과 8의 행으로 이루어져 총 64개의 LED로 구성된 가로8 세로8 배열의 LED에 대해 알아보고 아두이노를 통해 동작시켜 보겠습니다. 8x8 매트릭스 LED는 8개의 행과 8개의 열로 구성된 총 64개의 LED가 배열된 디스플레이 모듈입니다. 각 LED는 행과 열의 교차점에 위치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문자, 도형 및 애니메이션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 매트릭스 LED는 아두이노와 같은 마이크로컨트롤러와 쉽게 연동할 수 있습니다. ※1. 8X8 Dot Matrix LED 구조 및 제어[ 8x8 매트릭스 LED 구조] 행과 열:8x8 매트릭스 LED는 8개의 행(Row)과 8개의 열(Column)로 구성됩니다.각 행과 열은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Arduino] 아두이노 4Digit 7Segment(4자리 FND)제어하기 (6)](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mSh30%2FbtsHtoTvF4g%2FxqXkgQrIQ8ngkAP9aGkUyk%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팅에서는 4자리 7 Segment(FND)를 다루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두이노(Arduino)와 4자리 FND(Four-Digit Seven-Segment Display)를 함께 사용하면 숫자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간단한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4자리 FND는 보통 7개의 세그먼트와 1개의 소수점(Dot)으로 구성된 4개의 디지털 디스플레이가 하나로 결합된 형태입니다. 이를 통해 최대 4자리 숫자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제 4자리 FND의 작동 원리와 아두이노와의 연결 방법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4Digit 7 Segment 구조4자리 FND의 구조세그먼트: 각 자리에는 7개의 LED 세그먼트(A, B, C, D, E, F, G)와 소수점이 ..
![Arduino Uno, Arduino Mega Schematic [공개 회로]](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oQG5E%2FbtsHKiLLQQs%2FOFjDIXUWBBn4ghgemDxCv1%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시간에는 MCU설계에 STM32과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그리고 학습용으로는 설계에 가장 용이한 Arduino의 Atmega MCU를 설계 할 때 Reference가 되는 Arduino Board의 대표적인 보드 아두이노 우노와 아두이노 메가2560의 회로도를 확인 해보겠습니다. Arduino 보드의 Schematic 파일은 회로도(Schematic Diagram)를 포함하고 있으며, 보드의 전기적 연결과 구성 요소의 배치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이 파일은 주로 회로 설계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열람할 수 있으며, 전기 엔지니어와 제작자가 회로를 이해하고 수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Schematic 파일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합니다:전원 공급 및 관리 회로: 전원 공급 장치와 관..

안녕하세요. 플리커 현상(Flicker Effect)은 빛의 밝기가 주기적으로 빠르게 변동하여 깜빡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현상은 다양한 조명 시스템(특히 LED 조명)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여러 원인과 다양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를 더 자세히 설명해보겠습니다. 플리커 현상(Flicker Effect)은 빛의 밝기가 빠르게 변동하여 깜빡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다양한 조명 시스템, 특히 LED 조명에서 자주 발생하며, 빛의 밝기 변화가 일정한 주기성을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현상은 육안으로 감지되기도 하고, 카메라와 같은 영상 장비를 통해 더 명확하게 보이기도 합니다. 플리커 현상의 주요 원인, 영향 및 해결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플리커 현상의..
![[Arduino] 아두이노 Common Anode 7Segment(FND) 제어하기 (5)](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wCLCw%2FbtsHlHFMA4C%2FWDguyaC7ouEKJ9NSsu3SFK%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팅에서 여러개의 Seven Segment를 Common Anode Type를 동시에 제어하는 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7-Segment FND (Common Anode Type)제어7-Segment FND (Field's Numeric Display)는 일종의 숫자 표시 장치로, 일반적으로 디지털 시계, 계산기, 디지털 계측기 등에서 사용됩니다. "FND"는 "Field's Numeric Display"의 약자이며, 7개의 LED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7개의 세그먼트는 각각 숫자를 표시하는 데 사용됩니다.Common Anode (공통 양극) 타입의 7-Segment FND에서는 모든 LED 세그먼트의 양극이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는 모든 세그먼트의 양..
![[Arduino] 아두이노 Common Cathode 7 Segment(FND) 제어하기 (4)](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kUVUY%2FbtsHlEWz5rG%2FzKeFtGuBlNlInKl18F2hC0%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팅에서 여러개의 Seven Segment를 Common Cathode Type를 동시에 제어하는 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7-Segment FND (Common Cathode Type)제어7-Segment FND (Field's Numeric Display)는 일종의 숫자 표시 장치로, 일반적으로 디지털 시계, 계산기, 디지털 계측기 등에서 사용됩니다. "FND"는 "Field's Numeric Display"의 약자이며, 7개의 LED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7개의 세그먼트는 각각 숫자를 표시하는 데 사용됩니다. Common Cathode (공통 음극) 타입의 7-Segment FND에서는 모든 LED 세그먼트의 음극이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는 모든..
![[Atmega328] Atmega328 Chip의 종류와 차이(PU, AU, MU etc...) (2)](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nIGzr%2FbtsHtMzyrrL%2FynvDUI5RbNQGTXpl5K0wdk%2Fimg.png)
안녕하세요.Atmega328 Chip의 구분하는 방법에는 대표적으로 패키지 형태(Package Type), 저전력 소비(Low Power Consumption), 포장 방식(Package Method) 등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구분을 알아보고 각 Chip의 모델에 따른 스펙차이를 좀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참고사이트(Chip의 PKG 타입, 3D Model, FootPrint 등을 쉽게 파악 가능합니다.)https://www.aiema.com/component-3d-model?keywords=atmega328 Component 3D Models Library Free - AiEMAComponent 3D models library of 20 million part number componen..
![[Atmega328] Atmega328 SMD VS DIP (Atmega328 SMD DIP 차이) (1)](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JQtts%2FbtsHtwKwG6w%2FxTe27kEQKS2gVokjhOd2Lk%2Fimg.png)
Atmega328 칩은 DIP (Dual In-line Package) 타입과 SMD (Surface-Mount Device) 타입으로 제공되며, 두 타입의 핀맵이 다릅니다. 아래에서 각 타입의 핀맵을 설명하겠습니다. DIP 타입 (PDIP-28): 핀 수가 28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핀의 간격이 넓어 브레드보드나 개발 보드에서 쉽게 사용 가능합니다. -> 주요 모델명: ( ATMEGA328P-PU )SMD 타입 (TQFP-32): 핀 수가 32개로 더 작고 밀도가 높아, 표면 장착 기술로 PCB에 직접 납땜됩니다. 추가된 핀으로는 PB6, PB7, PC7이 있습니다.-> 주요 모델명: ( ATMEGA328P-AU, ATMEGA328P-AUR ) (4개의 핀에는 Vcc, GND, ADC6, ADC7 입..
![[Converter] 컨버터 종류 AC, DC (1)](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ipZK%2FbtsHn46LMA5%2FSnBLJ83R5ehYapYIdweFx1%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팅에서는 전자 전기계에서 컨버터의 종류와 이론은 간단하게 알아보고 다음 포스팅부터 각각의 컨버터를 자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AC to DC 컨버터의 내용을 참고 해보세요.- DC to AC 컨버터의 내용을 참고 해보세요.- DC to DC 컨버터의 내용을 참고 해보세요. 일반적으로 저항에 의한 전력 손실이 DC에 비해 AC가 적기에 가정으로 들어오는 전류는 AC의 형태입니다. 다만 AC의 경우 가전기기 내부에서 불안정요소를 가지며 제어에 어려움이 있기에 DC의 형태로 바꾸어서 사용하게 됩니다.(AC to DC)DC의 형태로 바뀌어진 전류는 이후 각자 요구되는 전압에 맞추기 위해 적합한 그기의 전압으로 바뀌게 됩니다.(DC to DC) 이번 포스팅에서 AC to DC Convert..
![[Arduino] 아두이노 핀맵 & 아두이노 사양 모음](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Ax4fB%2FbtsHmwQ3UKA%2FmDbh7MioGyOLK9we5bllaK%2Fimg.png)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팅에서는 아두이노 사용시 필히 알아야하는 보드의 핀 넘버, 즉 핀맵을 한번에 모아두었습니다. 필요할 때 볼 수 있겠금 즐겨차기 해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1. 아두이노 우노 [ Arduino Uno ] ▶1. Pin Map [핀맵] ▶2. 스펙 [Spec] ※2. 아두이노 나노 [ Arduino Nano ] ▶1. Pin Map [핀맵] ▶2. 스펙 [Spec] ※3. 아두이노 마이크로 [Arduino Micro] ▶1. Pin Map [핀맵] ▶2. 스펙 [Spec] ※4. 아두이노 메가 ▶1. Pin Map [핀맵] ▶2. 스펙 [Spec] ※5. 아두이노 D1R2 (호환) ▶1. Pin Map [핀맵] ▶2. 스펙 [Spec] ※6. 아..